Asia/South Korea

세계문화유산 '수원 화성'

Eden Choi 2008. 8. 11. 00:00

 

HWASEONG FORTRESS

 

서울에 왔는데.. 궁궐은 대충 둘러봤고

뭐..그렇다고 서울시내 번화가는 안땡기고..어딜갈까 고민하던 중

TV에 수원화성이 모습이 잠시 소개되었다.

아..그래..다음 코스는 저기다.

맨날 남의 나라 세계유산만 구경할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문화유산부터 제대로 알아야 될 것이 아닌가..

큰이모도 집에 혼자 계시니 모처럼 구경도 시켜드릴겸, 수원화성을 찾아가 봤다.



 


장안문


서울서 좌석버스를 타고 수원에 도착해 보니, 웅장한 모습의 건축물이 한눈에 들어온다.

특별히 코스를 생각해 놓은 것이 아니었기에, 이곳이 보이자 여기서 내려 걷기로 했다.

서울에 있는 궁궐과는 또 다른 느낌

게다가 성곽안에는 현재 수원시민들이 살고 있었다.

유네스코 문화유산이라고 해서 성곽 내부에 사람이 살 것이라고 생각도 못했는데,

화성이 워낙 넓다 보니, 이미 도시의 하나가 되어 있었다.

 







Hwaseong ("Brilliant Fortress") is located in Suwon, South Korea, 30 kilometers from Seoul. It was built from 1794 to 1796.

King Jeongjo constructed the fortress complex to honor and house the remains of his father Prince Sado who was forced to commit suicide by being shut in a rice chest by King Yeongjo. The fortress was designated by UNESCO as a World Heritage site in 1997.

 Hwaseong Fortress was built over two and a half years, from 1794 to 1796. The architect was Jeong Yak-yong, who would later become a famous leader of the Silhak movement. Silhak, which means practical learning, encouraged the use of science and industry and Jeong incorporated fortress designs from Korea, China, and Japan and scientific knowledge into his plans.

 Adoption of brick as a building material for the fortress  and the use of efficient pulleys and cranes also were the result of the influence of Silhak. The fortress was also a response to the collapse of the Korean front line during Hideyoshi's Invasions of Korea.

 At the time, the dominant Korean fortress-building model was to make a simple wall for the city or town and a separate mountain fortress for the people to evacuate to in times of war.

However, this fortress was built to include elements of a wall, defensive fortress, and town center. The four main gates were used as the gates for the town. The arrow-launching platforms built along ramparts with crenelleted parapets and battlements were elements of the fortress while the wall also held secret gates for offensive actions.

The fortress took 700,000 man-hours to build and cost the national treasury 870,000 nyang, the currency at the time, and 1,500 sacks of rice to pay the workers. In the past, government works were built with corvée labor, but in this case workers were paid by the government, a sign of Silhak influence.

King Jeongjo apparently built this fortress to prepare for a move of the capital from Seoul to Suwon. Suwon is strategically positioned to connect Seoul with the Yellow Sea and China. The king wanted to leave the fracticious strife of the court to carry out reforms and believed that Suwon had the potential to grow into a new and prosperous capital.

 To encourage growth, he ordered people to move to Suwon at considerable expense and exempted them from taxes for ten years. King Jeongjo also ordered public works, like educational facilities, for the city.A white paper "Hwaseong Seong-yeokuigwe" (Records of Hwaseong Fortress Construction) was published in 1800, shortly after Jeongjo died. It was ten volumes and proved invaluable for the reconstruction effort in 1970 after the fortress had been severely damaged during the Korean War.

 The volumes were divided by subject. The first volume was about the plans for building, such as the drawing details and list of supervisors.

The next six volumes detail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building, such as the royal orders and records of the wages of the workers. The final three volumes are supplements and detail the construction of an adjoining palace. The manpower was divided by specialty, such as overseers and stone masons and manual labor. The records detail the amount of materials used as well.


 




이날 비가 보슬보슬 내리는게, 묘한 운치를 더해 주었다.

내가 생각한 화성은 창덕궁 같은 궁궐의 한 형태일 줄 알았는데,

진짜 도심을 방어하는 성곽으로 지어졌다는 것이다.

뭐든지 미리미리 공부를 하고 와야 제대로 보는 법인데..

어릴때 역사 시간에 배운 정약용이 기중기를 이용해 만들었다는 뭐..그런 것만 기억이 났다.

실제 어떻게 생겼는지 그 동안은 사진조차도 본 적이 없으니..

너무 우리나라 문화유산에 관심이 없었던 듯 하다.

게다가 이렇게 넓은 줄 몰라서 어디서 어떻게 구경을 해야할 지

연세가 있으신 이모님을 모시고 온터라..마냥 걷기도 힘든데..음



 


성곽을 따라 걷는 길이 넘 예쁘다..빗방울을 맞으며, 계속 발길을 옮겨본다.

 

 


화홍문


지금도 여전히 물이 흐르고 있다. 대부분 메말라 버린 유적지들과는 달리..



 

 

 

 


성곽을 따라 한참을 걸었나..??

비도 계속 오고, 계속 걷자니 이모님이 힘드실 것 같고..

열차를 타고 화성을 둘러볼 수 있다기에 알아보러 관광안내소에 들렀는데,

비가 와서 운행을 안한다고 한다.

게다가 한국사람은 화성관광을 거의 안 하는지

열차관광을 물어보니 내가 일본인 관광객을 데리고 온 가이드냐고 되물어본다..허걱!

뭐..이래..내가 아니라고, 그냥 구경온 관광객이라고 하니깐

그럼 관람료 1,000원을 내라고 한다..

아니 이렇게 출입이 자유로운 곳에서 돈을 따로 받나??

그것도 처음에는 그런 얘기 없다가 타지에서 구경 온 '한국사람'이라고 하니깐

갑자기 관람료 얘기를 꺼내면서 돈달라니깐 무지 당황스럽다.

결국 원하던 열차는 타지도 못하고, 관람료만 내고.

아니..그럼 여기 지나가는 사람은 매번 돈을 내나??



 


저 멀리 보이는 전각이 연무대

앞에 있는 기와집은 화장실..가운데가 안내사무소. 저기서 물어봤다가 괜히 기분만 잡쳤다.

갑자기 비가 더온다..우씨..

 




봉돈



 

 

진작에 이 지도라도 있었으면, 전체 경로를 생각하면서 돌아봤을텐데..

보아하니 장안문에서 시작하여, 오른쪽으로 성곽을 따라 지금 팔달문에 있으니

나이드신 이모님을 모시고 화성 절반을 돈 셈이다..나도 참..

다행히 이모님이 정정하셔서..

온김에 화성행궁까지 보고 가자고 하신다.


 


화성행궁

 

행궁은 정조가 현륭원에 행차할 때 임시 거처로 사용되던 곳으로
정조18년~20년에 화성을 축성하고 팔달산 동쪽에 행궁을 건립했는데,

평상시에는 유수부(지금의 시청) 관청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화성행궁의 정전인 봉수당

정조대왕이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를 위해, 회갑연과 진찬례 생일 잔치를 이곳에서 거행했다고 한다.



 

 

비오는 날..이모님을 모시고, 오지기도 걸었다.

그래도 생각보다는 빨리 돌아본듯..아직 시간적 여유가 있길래,

바로 서울로 돌아가기 뭐해서

사도세자와 정조의 무덤인 융건릉까지 가보기로 했다.

근데..어떻게 가지?? 생각보다 시내버스 찾기가 어렵다.

시간도 그리 넉넉치 않고..이모님도 계시니 택시를 탔다..허걱..근데 생각보다 먼곳에 위치해 있네.

한국여행이라고 너무 만만히 보고 오늘 길을 나선 듯.



이든의 배낭기